공제

[리모콘 닉시 프리앰프] 제작 안내

by 정호윤 posted Nov 11,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십니까? 정호윤입니다.



리모컨 지원 닉시 프리앰프 Minima의 제작 안내입니다.

IMG_2085.jpg



가능한 많은 사진과 설명을 넣으려 노력했지만, 제작 안내의 사진과 설명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해되지 않거나 납득되지 않은 부분은 꼭 연락을 통해 해결하신 후 작업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사람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높은 전압이 사용됩니다.

작업하실때는 감전에 주의하시고, 전원을 한번이라도 인가하셨다면

회로 내부의 전압이 확실히 방전되었는지를 확인하시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기판의 4028 오른쪽 커넥터의 오삽이 있었습니다.

수정된 기판의 사진을 올렸으나 이후 케이스에 장착한 사진은 어쩔 수 없이

오삽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부품을 받으시는 분들은 다음과 같이 케이스에 일부 부품이 체결된 상태로 받으십니다.

IMG_1870.jpg

특히 B전원 정전압용 고내압 FET와 A전원 정전압용 정전압 IC는 방열을 돕기 위해 절연그리스처리를 한 후 체결하였습니다.



작업하기 앞서 각 소자의 자리가 기판의 자리와 맞는지, 소자와 단자의 배선이 꼬인 부분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IMG_1877.jpg



부품은 총 8가지로서 가장 먼저 저항입니다.

IMG_1879.jpg

180KR/3W에서 1개는 닉시의 전류설정용으로 쓰이므로 I SET에 실장합니다.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정전압 IC입니다.

IMG_1885.jpg

소자의 띠와 기판에 인쇄된 그림에서의 띠를 같은 방향으로 맞춰 실장하시면 됩니다.

히터전원부와 마이크로컨트롤러부의 DF04(실제 발송품은 DB105G) 2개가 빠졌습니다.



기판에 올라가는 각종 커넥터와 스위치, 볼륨입니다.

IMG_1889.jpg

볼륨의 리드가 휘어지는것을 막기위해 개별적으로 따로 보호처리를 하여 발송하였습니다.



커패시터류입니다.

IMG_1892.jpg

B전원의 커패시터는 모두 저임피던스품입니다.

오른쪽 위의 하늘색 105 적층커패시터의 수량은 3개가 아니고 5개입니다.



전선류입니다.

IMG_1894.jpg

셀렉터 신호용 케이블의 익스펜더는 사진과 다를 수 있습니다.



소스팔로워용 FET와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각종 논리소자, 마이크로컨트롤러용 크리스탈(16MHz)입니다.

IMG_1897.jpg

모터 드라이브 IC인 BA6208이 빠졌습니다.



기타 플랙시블 샤프트 및 노브, 볼트/너트, 선묶음과 선묶음 고정대, 리모컨과 수신부 입니다.

IMG_1902.jpg

노브 및 플랙시블 샤프트 고정용 무두볼트는 같은 봉지에 있거나 따로 포장되어 발송될 수 있습니다.

단말처리용 열수축대롱이 사진에서 빠져있습니다.



마지막으로 6111과 닉시입니다.

IMG_1904.jpg

6111이나 닉시를 추가로 신청하신 분들은 신청하신분의 성함과 추가하신 수량이 인쇄된 스티커가 봉투에 붙어있습니다.

기본 각각 1개씩에 추가로 신청한 수량이 한번에 담기게 되므로 1개씩 추가하셨다면 2개씩 받으시게 됩니다.



본격적인 작업을 시작하기 전 작은 부품이 많으므로 시작하시기 전 작업환경을 청결히하여 부품의 손망실을 막을 수 있도록합니다.



우선 표면실장형 릴레이를 붙입니다.

IMG_1911.jpg

오른쪽처럼 일단 패드 하나에 땜재를 올리고 가운데처럼 릴레이를 땜하여 각 패드와 리드가 알맞도록 조정합니다.

조정이 끝아면 왼쪽처럼 같은쪽 끝 리드를 땜하여 위치를 고정합니다.

그 후 반대편쪽을 모두 땜하고 나머지 두개를 매꿔 리드 8곳을 땜합니다.



땜이 끝난 모습입니다.

IMG_1914.jpg

땜재에 내장된 송진 때문에 지저분할 수 있는데, 아세톤등으로 닦으면 깨끗해집니다.



이후의 기판 작업 순서는 높이가 낮은것부터 높은 순서입니다.



먼저 저항류 및 다이오드류를 땜합니다.

IMG_1917.jpg



다음은 단자 및 소켓등을 땜하고, 커패시터류를 올립니다.

IMG_1927.jpg



히터전원부의 2핀 단자와 진공관쪽의 2핀단자는 ㄱ자를 쓰되 기판 바닥쪽에서 땜합니다.

IMG_1934.jpg



마지막으로 IRF730, 볼륨 및 RCA 단자등을 땜합니다.

IMG_1932.jpg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닉시 기판도 동일한 순서로 땜합니다.

IMG_1939.jpg

단 로터리인코더와 닉시 소켓은 사진과 같이 인쇄 반대편에 땜합니다.

로터리인코더와 닉시 소켓을 잘못 실장하면 재작업이 매우 어려우니 주의합니다.

모든 작업이 끝나면 기판을 꺽어 분리합니다.

4028 오른쪽의 커넥터의 오삽을 수정한 사진입니다.

이 이후 기판 사진은 오삽된것이 쓰였으나 이 기판을 기준으로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히터전원부의 2핀단자와 진공관의 2핀단자는 사진과 같이 청색선으로 연결합니다.
IMG_1943.jpg



기판을 케이스에 올리고 나사못을 이용해 고정합니다.

IMG_1948.jpg





기판의 5곳에 위치한 볼트를 체결하고, B전원 정전압용 고내압 FET와 A전원 정전압용 정전압 IC를 연결합니다.

IMG_1946.jpg

단자와 선이 1:1로 대응하는지 확실히 확인합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기판에 각 IC를 꽂습니다. 방향이 있으므로 확실히 확인합니다. IMG_1952.jpg

그리고 기판을 고정하면 선을 끼우기 어려우니 미리 끼워둡니다.



익스펜더가 씌워진 셀렉터 신호용 케이블은 주기판의 셀렉터부분에 연결됩니다.

IMG_1955.jpg

닉시신호선도 마찬가지로 닉시 기판에 꽂습니다.

IMG_1957.jpg



전면에 고정되는 전원스위치, 로터리 인코더, 플랙시블 샤프트 가이드를 고정합니다.

전원스위치는 와셔 두개를 안쪽에 끼우고 고정해야 꼭 알맞습니다.(안쪽 두개/케이스/바깥쪽 한개/너트)

IMG_1958.jpg



플랙시블 샤프트는 나사산이 기기 안쪽으로 오도록 합니다.

IMG_1961.jpg



먼저 노브가 붙는쪽을 끼우고

IMG_1963.jpg



플랙시블 샤프트를 살짝 휘어 볼륨의 샤프트에 끼워넣습니다.

IMG_1965.jpg



사진과 같이 멈춤단과 약간 사이를 두고 무두볼트로 고정합니다.

IMG_1969.jpg



IMG_1971.jpg

노브쪽의 샤프트에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볼륨의 샤프트쪽의 방향은 의미가 없으니 편하게 작업하시면됩니다.



선묶음 고정대를 붙입니다.

IMG_1975.jpg



전원트랜스포머의 2차측선과 초크코일의 선을 꼬아둡니다.

IMG_1977.jpg



PVC 피복선으로 인두열에 녹을 수 있기 때문에 열수축대롱으로 마감합니다. 길이는 8~10mm로 10개를 준비합니다.

IMG_1980.jpg



전원트랜스포머가 2개로 중간에 선을 나누기 어렵기 때문에 3단자 러그를 씁니다.

IMG_1985.jpg

AC-INLET의 한단자에서 러그의 한단자로, AC-INLET의 나머지 단자에서 스위치를 거쳐 러그의 나머지 단자로 갑니다.



사진과 같이 아래쪽 구멍을 씁니다.

IMG_1990.jpg



AC-INLET 사진입니다.

IMG_1991.jpg

AC-INLET의 접지와 케이스의 접지 연결은 잡음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하지 않습니다.



전원 스위치입니다.

IMG_1994.jpg



각 트랜스포머의 1차선을 러그의 양단자에 한선씩 땜합니다.

IMG_1997.jpg

선을 꼬아 어려워 보일 수 있으나 차근차근 작업하시면 됩니다.



전원스위치쪽 2차가 2개 나오는 전원트랜스포머가 히터전원 및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전원입니다.

선을 잘 잡으면서 가까운쪽의 선(사진에서는 빨간색)을 마이크로컨트롤러 기판에 연결합니다.

IMG_2001.jpg



닉시기판의 B전원 단자에 선을 꽂습니다.

IMG_2003.jpg



히터전원을 배선하면서 닉시 B전원선도 같이 결속합니다.

IMG_2006.jpg



역시 B전원 및 초크코일과 같이 닉시 B전원선을 결속합니다.

IMG_2011.jpg



각 단자표기에 맞게 결선하고 닉시 B전원단자도 꽂습니다.

IMG_2012.jpg



적외선 수신창 작업입니다.

수신창쪽에 같이 들어있는 양면테이프를 붙입니다.

IMG_2019.jpg



수신창에서 약 10cm를 남기고 자른 뒤 적당히 피복을 벗깁니다.

IMG_2022.jpg



각 선에 땜을 먹입니다. 인두에 올린 땜으로도 쉽게 녹일 수 있습니다.

IMG_2023.jpg



단자구멍에 잘 들어갈 수 있도록 모양을 잡고 너무 길지 않도록 자릅니다.

IMG_2026.jpg



위에서 부터 파란색, 황토색, 빨간색으로 땜합니다. (IRR에서 I가 파란색, R이 황토색, R이 빨간색입니다.)

IMG_2030.jpg



양면테이프의 나머지 보호필름을 벗긴 뒤 수신창이 가득차도록 고정합니다.

IMG_2033.jpg



전동볼륨의 전원선을 꽂습니다.

IMG_2035.jpg



모든 결선의 땜 및 결속이 끝난 마이크로컨트롤러 기판입니다.

IMG_2038.jpg



6111의 작업입니다.

플랙시블 리드로 직접 땜하는것이 일반적이지만, 추후 관교체를 위해 소켓처리를 했고, 알맞게 작업합니다.



9핀 노발베이스처럼 리드의 간격이 다른곳보다 약간 넓은곳을 기준으로 4가닥식 벌려 1자로 만듭니다.

IMG_2039.jpg



약 5~6mm 정도를 남기고 자릅니다.

IMG_2044.jpg



간격이 넓은 부분이 소켓에 홈과 같은 방향이 되도록하여 설치합니다.

IMG_2047.jpg

소켓처리로 이후 관 교체시 신속하고 편리한 교체가 가능합니다.



전면패널을 장착하기 전 노브를 임시로 끼워둡니다.

IMG_2051.jpg



전면패널의 적외선 수신창에는 적암투명 아크릴을 붙입니다.

접착제등의 방법을 쓰시되 너무 많은 양으로 창이 지저분해지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IMG_2054.jpg



임시로 고정한 노브와 패널의 간격을 맞추면서 패널을 고정합니다.

IMG_2059.jpg

앞쪽에서 손으로 누르고 너트드라이버로 조이면 쉽게 작업하실 수 있습니다.



뚜껑을 닫기 전 완성된 모습입니다.

IMG_2065.jpg



닉시의 위치를 다시 한번 손보고 뚜껑을 닫으면 작업이 끝납니다.

IMG_2069.jpg

뚜껑을 닫기 전 오삽, 오배선등을 다시 한번 꼼꼼히 확인합니다.



Minima는 기기의 사용에 있어 조정이 필요한곳은 없기 때문에 작업이 완벽하게 끝났다면 전원을 바로 넣어도 됩니다.

IMG_2090.jpg



전원을 인가하면 9에서부터 숫자가 줄어 0이 되며 이때 볼륨을 완전히 닫습니다.

이후 최초입력인 1이 선택되며, 출력단이 열려(숫자앞 점에 불이 들어옵니다.) 앰프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이 시간은 대략 40초 정도이고, 전원 인가시에 생길 수 있는 잡음으로 인해 파워앰프 및 스피커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합니다.



리모컨 설명입니다.

POWER - 볼륨을 완전히 닫는 완전음소거

- 출력단이 닫힌 후 닉시의 숫자가 9에서 줄어 0까지 되며 이 사이 볼륨을 완전히 닫습니다.

동작이 끝나면 음소거가 해제되며 볼륨을 완전히 닫은 일반상태가 됩니다.



MENU, LIST - 쓰지 않습니다.



+ - 음량 증가

- - 음량 감소



◁ - 현재보다 작은 숫자의 입력 선택 - 1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 - 현재보다 큰 숫자의 입력 선택 - 5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OK/MUTE - 출력단 릴레이를 내리는 간이음소거

- 닉시 숫자가 0으로 바뀌며 출력단이 닫힙니다.(숫자 앞의 점이 꺼짐) 간이 음소거 후 약 5분 후에 완전음소거가 동작합니다.



주의 : 간이음소거 중에서는 리모컨의 다른 버튼은 쓸 수 없습니다.

OK/MUTE 버튼을 한번 더 눌러 음소거를 해제하거나, POWER 버튼 및 간이 음소거 후 동작하는 완전 음소거 후

일반 상태로 복귀해야 다른 동작이 가능합니다.




1,2,3,4,5 - 각 입력의 직접 선택



DISP - 닉시 숫자 끄기/켜기 - 출력이 나가고 있는 표시인 숫자 앞의 점은 꺼지지 않습니다. 음소거가 동작하면 DISP 상태는 해제됩니다.



특정 숫자를 장시간 점등하여 수명이 짧아지는것을 막기 위해 약 5분마다 0으로 바뀌었다 돌아옵니다.



전면 셀렉터로 직접 입력을 선택할때에는 닉시의 페이딩효과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규모는 작지만, 다소 난해한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꼭 연락을 주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