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제

[6SN7 Pe] 6SN7 선정 이유와 설계 개념

by 구음공방 posted May 17,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김선구입니다.

많은 분들이 왜 6SN7을 선택하였는지에 대해 문의를 주고 계십니다.

저는 현대에 사용되는 프리앰프의 개념부터 생각해보았습니다.

과거에 사용되던 소스들은 출력전압이 매우 낮았습니다.
따라서 낮은 출력을 파워앰프의 규정입력으로 만들기위해서
높은 이득을 가진 프리앰프가 필요했습니다.

높은 이득을 가지기 위해서는 ECC83을 선두로한 고증폭율 삼극관이나
EF86등의 오극관등을 사용하는것이 보통이었습니다.

하지만 요즘 소스들의 출력전압은 높게 설계되어
이득을 높게 잡은 파워앰프에 볼륨을 달아 사용하거나
볼륨과 셀렉터만으로 구성된 패시브프리의 사용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소스의 낮은 출력전압을 증폭한다기보다는
소스의 선택과 더불어 음색을 다듬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프리앰프는 그다지 높은 이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대신 TR파워등 낮은 입력임피던스에 맞는 낮은 출력임피던스가 관건입니다.

적당한 증폭률과 낮은 출력임피던스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관선택이 중요했습니다.
선택할 수 있는 관들은 많았지만, 제가 선정한 관은 6SN7입니다.
증폭율은 20 정도로 적당하며, 케소드팔로워 구성시 낮은 출력임피던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회사에서 많이 생산되어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고, 음질적으로도 안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미니어쳐 동등관인 6CG7이 생각하실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이제까지 수많은 앰프들을 만들어 온 경험으로 전기적 특성이 똑같다고 해서 음색까지 같지는 않았습니다.
미니어쳐관보다는 GT관, 그중에서도 특히 플레이트 면적이 넓은 관들이 심지가 곧은 굵은 소리를 내주었습니다.
이번 프리의 음색적 중심은 '장중함'인 만큼 6SN7은 절대적인 선택이라 할수있습니다.

회로는 뮤팔로워를 선택하였습니다.
SRPP의 개량형으로 SRPP가 갖는 특유의 음색을 배제할 수 있으며,
SRPP가 목표로 하는 회로상의 특이점을 더욱 더 강화된것입니다.
넓은 주파수 응답 확보할 수 있어 현대소스에 적당하며, 출력은 케소드팔로워형태이기 때문에
낮은 출력임피던스를 얻을 수 있어 TR파워와도 우수한 매칭을 보여줍니다.
플레이트팔로워-케소드팔로워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회로는 간단하긴 하지만,
현대소스에 대응하기에는 다소 무리라 판단하여 복잡하지만 뮤팔로워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관과 회로에 맞춰 부품도 하이엔드급으로 맞췄습니다.
기본적인 저항은 하이엔드 제작사에서 사용하는 비샤이/데일저항을 사용하고,
발진 방지와 음색 튜닝을 위한 그리드스토퍼는 홀코를 선정하였습니다.
뮤팔로워에 사용되는 두가지 커플링은 오디오커플링에서는 최상위 제품이라 할 수 있는
MIT RTX를 선정하였습니다. 다소 고가라 망설여졌지만, 완성도를 위해서는 피할 수 없는 선택이었습니다.

주 회로는 정전압부와 더불어 청취 중이며 막바지 튜닝을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전원부도 회로와 부품의 급에 맞게 꾸몄습니다.
진공관 정류를 기본으로 하여 모두 진공관을 사용한 정전압부를 구성하였습니다.
정전압부의 설계와 관 선정 및 수급, 기판 설계등 모든 사항은 정호윤님이 해주셨습니다.
수급이 힘들고 수명이 짧은 정류관을 제외한 모든 관은 영국제 구관이 사용됩니다.
패스튜브와 전압비교기는 멀라드, 전압기준관도 영국에서 생산된 영국군용관입니다.
진공관 정전압부에서는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초고급 구성입니다.
다음은 진공관정전압부에 관한 정호윤님의 간단한 설명입니다.

--------------------------
반도체 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펄스파형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정류관을 사용했습니다.
패스튜브와 전압비교기 및 전압기준관은 힘들었지만 모두 영국제 구관을 수급하여 음색적 통일 및 신뢰성을 높였습니다.
기준전압은 저가의 제너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잡음과 온도상승에 따른 기준전압 변동을 통한 전압변동을 막기위해
방전관을 그것도 기준전압을 위해 만들어진 VOLTAGE REFERENCE관을 사용했습니다.
-------------------------

정전압부에 관한 정보는 공동제작이 시작되고 나서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모든 시험이 끝났으며 정상적인 동작임을 확인하였습니다.

공동제작 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모든 기판은 샘플로 주문하여 시험중입니다.

주회로설계와 튜닝, 전체적인 일정 진행은 제가
모든 기판 설계 및 정전압부, 셀렉터기판의 회로 설계, 부품 수급등은 정호윤님이 담당합니다.

19일까지 참가자 조사를 받고, 26일까지 1차 입금 후 6월말까지 부품수급 완료를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선구 배상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