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기

3SRPP EL3 PP 파워앰프

by 정호윤 posted May 04,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십니까? 정호윤입니다.

3SRPP EL34 PP 파워앰프입니다.
IMG_3988.jpg

첫단 SRPP, 둘째단 SRPP로 구동하면서 공통 케소드형 위상반전회로로 위상반전 겸 드라이브를 합니다.
SRPP를 세곳 구현해서 3SRPP로서 정수를 쓰지 않은 회로도 모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3SRPP_EL34_PP_sch.png 
정수를 쓰지 않은것은 비밀이라서가 아니고, 귀찮아서 입니다.
그런 부분에서 전원부도 생략합니다. 'ㅅ'

일반적으로는 드라이브단도 쌍3극관으로 간단히 처리하긴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밀러효과가 적은 다극출력관임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전달되는 신호임피던스를 낮추기 위해
드라이브단도 SRPP를 적용했습니다.

물론 신호임피던스를 낮춘다는 목적에서는 아예 케소드팔로워를 따로 구성하는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지만,
케소드팔로워로 인해 추가되는 부하저항의 배치나 발열등의 처리도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하는것이기 때문에
약간의 신호임피던스 상승을 감수한다면, SRPP는 좋은 선택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만 이렇게 되면 히터띄우기가 난감해진다는 단점이 생깁니다.
이 앰프에서는 출력관과 초단관, 드라이브관으로 띄우기 회로를 두곳 구성했습니다.

고정된 정수가 없는 앰프로서 이번 구성은 ECC83 - ECC82*2 - EL34 고정 바이어스 PP가 됩니다.
IMG_3991.jpg

출력트랜스포머와 전원트랜스포머는 (다양한 방면으로) 유명한 졸리다의 SJ-302 용을 썼습니다.
각 트랜스포머들은 양커버로 구성되어있으나 벗겨내고 몰딩을 하였습니다.
특히 전원트랜스포머의 악명을 익히 알고 있는터라 전원트랜스포머의 몰딩은 필수였으나
몰딩을 했기 때문지는 모르겠지만, 생각보다 열이 덜나는것을 보면 잘못된 사용에 문제가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전체적인 구성은 기판에 모두 몰아넣었습니다.
주회로, B전원, C전원, 히터 띄우기등등이 모두 기판 1장에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배선은 상당히 간결합니다.
IMG_3993.jpg

또한 전원트랜스포머를 몰딩하면서 단자대를 추가하여 중간에 선을 이어붙이는 다소 억지스런 구성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IMG_3997.jpg

현재 B전원 교류전압은 360V로 설정했고, EL34 전류는 40mA로 최대출력은 50W가 나옵니다.
출력트랜스포머 SG-50A가 낼 수 있는 출력이라 안심하고 씁니다.

다이오드 정류이기 때문에 진공관 점화가 모두 끝나 제 전류를 쓰기 전까지는 다소 높은 전압이 나타나므로
내압부족을 막기 위해 400V 를 직렬로 이었고, 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저항도 모두 설치했습니다.
B1 전압 이후로는 500V 커패시터를 단독으로 씁니다.
IMG_4000.jpg
정류에는 CREE의 고내압 쇼트키 다이오드를 브리지로 구성했습니다.
정류 직후 초크코일을 채널별로 따로 두어 크로스토크비가 떨어지는것을 막았습니다.
바깥 사진의 앞쪽 몰딩케이스에 초크코일이 두개 들어 있습니다.

고정바이어스에서 전류감시를 편하게 하기 위해 테스터 리드를 꽂는 단자를 설치하였고,
외부에서 직접 조정할 수 있도록 반고정 저항을 설치하였습니다.
IMG_3991.jpg
출력관 밑에 있는 전압을 넘으면 안됩니다.

전기적 특성입니다.

※ 전기적 특성은 사람의 신체검사와 같은것으로 기계적인 특성을 나타낼 뿐입니다.
기계적 특성이 재생음색을 나타내는것도 아니고, 기계적 특성의 우수함만을 목표로 하지도 않습니다.
단지 제가 만든 기기의 신체검사를 통한 건강상태를 알고 싶을 뿐입니다.

모든 결과는 별도의 알림이 없으면 왼쪽 채널 기준입니다.

이득 : 약 19.5배, 약 25.8dB @ 1kHz, 8OHM (되먹임 있음)
잔류잡음 : 양쪽 공히 0.7mV, JIS-A 보정 0.01mV @ 8OHM
찌그러짐  : 1W 출력시 0.2%, 클립이 나타나는 50W 출력시 0.9% @ 1kHz, 8OHM

주파수 특성입니다.
3SRPP_EL34_PP_fr_res.png
1W가 출력되는 145mV를 입력했습니다.
5Hz~199kHz는 -0.2~-10dB, 20~20kHz는 -0.05~-0.31dB 입니다.
최대출력일때의 특성은 측정하지 못했습니다.

입출력 특성입니다.
3SRPP_EL34_PP_inout.png
입력과 비례하여 늘어나는 출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찌그러짐 특성입니다.
3SRPP_EL34_PP_dist.png
저주파쪽 특성이 약간 떨어지긴하지만, 찌그러짐이 늘어나는 정도가 일정하므로 그리 큰 문제가 되진 않을것으로 생각합니다.

그야말로 그분이 오셔서 기판을 그리고 만든 기기이긴합니다만,
IMG_3988.jpg
EL34라 하더라도 필요한 전원전압이 받쳐주면
깨끗한 50W를 얻을 수 있다는 부분을 확인한것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럽습니다.

다음에는 좀 더 대출력 파워앰프를 만들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