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각 인 刻 印

by 항아리 posted Jul 15,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제 뜻밖에도 알텍의 30546이란 형번의 45도 혼연결쇠가
마치 감나무 아래 누웠다가 떨어지는 감을 받아먹는 것처럼 손에 들어왔는데,
 운이 좋다, Lucky하다, 하는 건 이런 경우에 적절할 것입니다.

 

 이럴 땐 민첩하게 감사한 마음을 채택하는 게 바른 순서일 것입니다.
 그 감사한 마음이 운, Luck을 더욱 빛나게 해주는 까닭입니다.

 

 지난 밤엔 발딱 세워 들었고,
 새벽에 일어나 눈을 떠선 뭔가 옳지 않다 싶은 생각이 들어 축 숙여 들었습니다.

 저것 보단 이것이 옳겠구나, 싶은 생각이 든 까닭은 지극히 사소하고 같잖은 것입니다.
 
 빈티지를 좋아하는 분들이 좋아라 죽는 단어 중 하나인 '각인',
 더구나 음각과 양각이 혼합되어 더욱 좋아라 죽을만한 311-60의 혼 이름이 각인된 글자가,
 드라이버 대가리를 발딱 세우면 아랫면으로 깔려 보이지 않고,
 축 숙이면 윗면으로 드러나 선명한 시각적인 만족감을 주니,
 일단은 이게 맞다는 생각을 굳히게 되었습니다.
 저 또한 근거고 뭐고간에 프린팅 보다는 각인이 기왕이면 더 좋은 것이라고 신념하는 인간 중 하나이며,
그게 눈에 보여야 더 멋져 보이고, 생각날 때마다 확인을 하는 즐거움을 가벼이 여기지 않는 까닭입니다.
 
 아무래도 프린팅 보단 각인을 한 것에 정성이 더 들어가지 않았겠는가.

 

 각인이 더 좋다는 바탕에 깔린 건 그런 생각 정도인데 당연히 그게 어떤 근거가 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만,
 과연 고려시대의 팔만대장경이 우리나라의 빠질 수 없는 보물이자 자랑이 된 것은,

 

 각인刻印이기 때문입니다.

 

 81,258 개의 경판에 무려 52,382,960여 개의 글자가 각인된 대장경은 실로 각인의 위용과 위엄을 드러내는
인류의 대표적인 유산이라 아니할 수 없겠습니다.
 어찌 감히 그에 비하겠습니까만, 알텍의 초기 주물혼 역시 음향과 오디오 역사에선 나름대로 아기자기한
유산이라 할만 하므로 각인이 보이게 세팅하는 게 마땅한 조치일 것입니다.

 막상 숙이고 보니 뭔가 안심이 되고 마음이 편안한 것이, 잘했구나, 싶어집니다.
 
 가만히 돌이켜 보면
 사람인 저 또한 대가리를 쳐들었을 때 보다 숙였을 때, 아름답고 선선하며 뭔가 순리에 맞아떨어짐과 동시에
여러모로 이로운 일들이 많았습니다.
 또한 소리와 음악과 오디오 기기 쪽에 배움이 더 많았으며 결과적으로 바른 방향이었습니다.

 

 여자 치마속 팬티도 머리를 숙이고 눈을 낮춰야 잘 보였다는 것을 상기하면,
 혼 대가리든 사람 대가리든 숙이고 낮추는 게 옳다는 생각이 더욱 견고해집니다.
 
 
 
 
 

 


Articles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