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캐소드 바이패스 콘덴서에 관한 미신과 현실

by 윤영진 posted Feb 21,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본의 자작 전문가들이 쓴 책들이 한국의 자작 애호가들에게는
일종의 경전처럼 전승되어 왔습니다.

뭐 다른 선택이 많았는데 그랬던 것은 아니고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사실 자작이라는 것이 크게 융성한
취미는 아니기 때문에 참고할 만한 책도 드물었고....

대부분 나이드신 한국 분들에게는 일본어가 편했으니까.....

일본의 자작 전문가들이 "저역 대책"으로 말하는 주요 항목 중에
캐소드 바이패스 콘덴서의 용량을 "충분히 넉넉하게" 해 줄것에 대한 지침이
항상 빠지지 않습니다.

이에 대해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도 본 적이 드뭅니다.
유일하게 본 사례가 저와 친한 신 * * 님 한 분 뿐입니다.

그런데 이 분도 "저역의 대역 문제"와 연결해서 말씀하기 보다는
"게인과 음의 경질성"과 연계해서 의견을 피력하셨습니다.
(저역이 준다는 말을 특별히 언급 안했으니, 저와 같은 이견이실 수 있습니다.)


과연 캐소드 바이패스 콘덴서는 최소 100uF, 가능하면 200-400uF까지 써야
저역이 충분히 확보되는 걸까요?

주위 오디오 고수라는 분들에게 물어도
그런 줄 알고 별 생각없이 쓰지 직접 시험해 보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회로에 있으니 그냥....."

"공식에 그렇게 해야 저역이 뻗는다고 나와 있다."

"모든 책에 다 그렇게 나와서...."

"100uF짜리 쓰다가 220uF짜리 쓰니 저역이 좀 더 나오더라....."

심지어는 .....

"별 바보같은 질문을 하고 있네, 당연히 그런 걸 왜 물어?"

뭐 그런 정도의 애매한 경험담은 많습니다.


캐소드 바이패스 콘덴서의 용량과 저역 재생 범위에 관한 공식이 있기 때문에
몇 uF을 쓰면 몇 Hz 까지 대역이 확장된다는 식으로 공식에 의해 답이 나옵니다.
공식에 따르자면 10uF 정도만 쓰면 충분합니다.

그런데 "한 옥타브 정도는 위에 영향을 미치니 공식보다 더 낮은 주파수까지 확보"하기
위해서 용량을 충분히 써야 한다고 "책"에 나옵니다.

그런데 과연 하나의 앰프에서 저역을 제한하는 요인이 캐소드 바이패스 콘덴서
하나 뿐일까요?

아니지요!

가장 먼저 OPT부터 다른 많은 요인들이 "저역을 제한"합니다.
따라서 캐스도 바이패스 콘덴서에서 아무리 3Hz 까지 대역 재생범위를
확대해 봤자,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다 깎아 먹힙니다.

물론 모든 앰프들이 다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PP앰프는 싱글앰프에 비해서 저역이 더 뻗는 관계로
바이패스 콘덴서의 영향이 좀 더 뚜렷합니다.

오늘 직접 실험을 했습니다.(싱글 앰프에 한해서....)

유일하게 인터스테이지 드라이브를 하지 않는 파워앰프를 대상으로....

초단관 바이패스 콘덴서는 120uF을 10uF으로
출력관 바이패스 콘덴서는 220uF을 20uF으로.....

공식에 따르자면 엄청난 저역의 감쇄를 부를만한 용량 축소입니다.

그런데 허무하고 황당하게도 저역이 거의 줄지 않았습니다.
원래 그 앰프의 저역이 안 나던 것 아니냐는 의문도 있겠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도리어 중고역이 더 투명하게 나오고 저역은 더 해상력이 생겼습니다.

한 마디로 음질이 한 두 단계 더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빈티지 앰프의 회로도를 살펴보면
캐소드 바이패스 콘덴서의 용량이 대부분 4-8uF 정도이고
심지어는 1-2uF도 흔합니다.

그런 회로를 볼 때, 미루어 짐작해서
"아- 당시에 고용량 캐퍼시터 제작기술이 부족해서 할 수 없이 작게 썼구나!"
옛날의 엔지니어들은 참 불쌍했구나...ㅉㅉ

라고 지레 짐작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직접 그런 회로로 만든 70-80년 전에 만든 앰프들을 직접 써 봤지만
저역이 그다지 심하게 빠지지 않았습니다.
단지 1-2uF의 캐소드 바이패스 콘덴서를 썼는데도....

왜 그런가에 대해서 별 생각없이 지냈습니다.

오늘 직접 시험을 해보니

"선입견과 편견이 너무 무섭다!"

입니다.

싱글 파워앰프라면 캐소드 바이패스 콘덴서를
10-20uF 정도의 MKP급 필름 콘덴서나 질 좋은 오일 콘덴서로
바꾸는 걸 권유합니다.

만약 그래서 저역이 크게 축소된다면 그건 캐소드 바이패스 콘덴서의
책임이 아니라 다른 문제(아웃트랜스나 회로 시정수, 기타....)를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하루 종일 콘덴서를 떼었다 붙였다 시험을 하면서
직접 확인했습니다.

이미 다른 많은 요인 때문에 20Hz 지점부터 2-5db 수준에서 감쇄가 되고 있는
앰프에서 캐소드 바이패스 콘덴서만 홀로 3Hz까지 리니어하게
38선 혼자 지키고 서 있는 것이 좀 우습다는 것을......

못 믿겠다는 분들은 직접 실험해 보시고
그 결과로 답을 해 주시길 권합니다.

혹시 저만의 유일한 케이스 일 수 도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