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e] 인크로저고수님들께

by 안효상 posted Nov 25,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진은 과거 안기종님이 올리신 것을 재탕합니다.
========================================================================

우퍼의 콘지를 잘 살펴보면 모양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콘지의 모양에 따라 주파수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고 음질은 어떻게 형성될까요?
그리고 이 특성에 따라 통은 어떻게 짜야 할까요?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위 사진의 그림 4C를 보면 Curvilinear cone이라는 형태의 콘지가 나오는데 이 콘이
채택된 대표적인 모델들이 130A, 2220입니다.

그림 5에 보면 2220의 주파수 특성이 나오는데(첫번째 커브) 2000Hz까지 비교적
평탄하게 재생해 줍니다.
JBL에서 권장하는 주파수 한계는 130이 1200Hz, 2220이 800Hz입니다.
이런 이유로 130A계열은 우퍼라는 표현보다 Mid-base란 표현을 쓰게 됩니다.

이렇게 130이나 2220이 중저역 위주로 설계되다 보니 초저역을 재생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려면 더블우퍼로 구동을 하던가 아니면 인클로져를
통하여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알텍 817, JBL 4550, JBL 4560 통같은 Front horn이나 4520같은 Back road
horn을 쓰면 이런 단점이 커버되고 Mid-base 본래의 장점이 잘 발휘됩니다.
즉 무겁지 않고 약간 밝으면서도 리드미컬한 저역이 쏙쏙 빠져 나옵니다
(물론 통을 잘 짰다는 전제하에)

두 번째 형태의 우퍼는 첫 번째 사진의 4A로
‘Straight-sided cone with reinforcing ribs'이라는 형태의 콘지를 가진 우퍼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LE15A, 4343에 쓰인 2231A, 4344, 4355등에 쓰인 2235같은 모델입니다.
저음 보강을 위하여 rib을 댄 것이고 주파수 특성은 우측 상단 5번 그림의
3개 커브 중 맨 아래 것이고 1000Hz이상에서 급격히 왜곡이 생기기 시작하며
JBL에서 권장하는 크로스 오버는 500Hz입니다.

몇 번 언급했지만 저역이 중후하고 상당히 아래까지 잘 내려가나 구동이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이런 우퍼는 혼형 인클로저에 담게되면 저역이 넘쳐흐르게 되겠죠
그래서 대부분 일반 base reflex 통에 담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
>위상반전형 우퍼(2235)를 혼개구부형 인크로저에 넣으면 어떤 득실이 있는지요?
>최경록님 혹시 보고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많은 인크로저를 사용해보신 고수님들의 조언 기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