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e] MC-60 사용 할, 10K2W, 10K10W 저항은 어디서 구입해야 하는지요

by 김상준 posted Oct 26,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질문 많이 해서 송구 스럽습니다.
>
> MC-60 파워의 전해콘덴서 교체시 꼭 필요한 위 저항들을 어디서 구해야 하는지요.
>
> 오디오파트에 갔더니 10K/2W 는 쬐그만 대일 저항으로, 10K/10W 는 12K/10W 로 주던데 마음에 들지 않네요.
>
> 원래와 같은 형태가 좋을것 같은데.....  지방이라서 어려움이 많으네요.
> 화요일쯤 청계천에 나가보려는데 그것도 대충이나마 어느곳에 있는가 짐작/알아야 할듯하네요.
>
> 016-281-1727, 042-584-5614   고맙습니다.안녕하세요 유재준님!

저도 앰프에 대해서는 왈가왈부할 수준은 못되나 마침 회로를 가지고

있어 글 올려봅니다

이글은 저의 주관적인 판단이므로 오해 없길 바라며

그저 참고사항 정도로 이해해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위에 c8과 mc60의 회로를 올렸는데

먼저 파워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입력은 8핀소켓과 출력단자쪽의 입력감도 0.5v의 2가지로 받을수

있는데 출력단자쪽의 0.5v인풋과 rca단자는 내부에서 병렬로 연결되어

0.1의 입력콘덴서와 500k의 가변저항과 27k의 스토퍼저항을 통해

초단그리드로 입력되는 형태인데 이는 매킨 이외의 출력전압이 낮은

프리나 소스를 지원하는 단자이고


8핀소켓의 2번은 프리부의 케소드에서 출력되는 신호전압과

직접 연결하게 되어 있는데 이때는 0.47의 입력커플링과 직열로 100k의

저항을 통해 초단그리드로 입력되는 형태인데 이는 위의 0.5v 입력감도

보다 감도가 낮아 1-2v 정도의 입력감도를 갖는데

이는 프리의 출력전압이 1-2v가 들어올 때 파워는 정격 60w의 출력을

낸다는 말이구요


예로 프리앰프의 출력전압이 표준20db(약10배)를 기준으로 프리입력에

0.2v가 들어온 경우 출력전압은 그10배인 2v로 출력되므로

파워의 입력감도가 0.5v 인 경우에는 이득이 4배정도 높으나 파워게인을

통해 초단그리드로 신호가 입력되므로 이득조절의 용이성은 가능하나

파워보륨의 질에 따라 음질열화를 수반하거나 이득이 높음으로서

잡음면에서 불리한 단점들이 문제로 발생하고 (물론 프리의 출력전압과

파워의 입력감도가 잘맞는 경우에는 이런문제점은 사라지나 보륨이

삽입되어 직결보다는 음질열화를 피할수 없음)


8핀소켓의 2번으로 받는경우에는 비록 게인조절의 용이함이 없는

불편함이 따르나 프리출력 전압과 파워의 입력감도를 잘 맞추는 경우에는

이것만큼 절대적인 음질은 없기 때문에 매칭이 잘맞는다는 말이 되겠지요


(그리고 입력콘덴서의 역할은 프리나 소스측의 이상으로 DC가 뜨는 경우

이를 방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므로 프리출력단에 출력콘덴서가 달린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면 더 순도 높은 신호가 넘어오기 때문에 없애는 편이 나으나

이는 프리의 조정이 완벽한 경우에 한한것이니 일단일장이 있으므로 한번

해볼 만은 합니다 다행히 C8 출력단에는 출력콘덴서가 있으니 시도해 보시는것도

좋을거라 사료됩니다


따라서 이득과 임피던스관계만 잘 숙지하셔도 프리와 파워의 매칭문제는

어느정도 해결되리라 사료됩니다)


그런후에 초단의 쌍삼극관중 하측1/2관이 B전원을 플레이트로 받아 케소드로

내보내는 정전압구동을 했는데 이런방식은 초단에서 발생하기 쉬운 전원 또는

외부잡음문제에 대응하는 임피던스를 낮추어 공급하는 회로방식을 채택하여

다음단인 12AU7에 직결하는 이른바 멀라드 직결케소드 결합형회로를 채택했는데

이곳에서 위상절환이 일어나는 위상반전회로로서 이회로의 특징으로는 초단플레이트

의 신호전압과 직류가 함께 직결되어 위상반전단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실질적인

전압이 상당히 높아집니다


따라서 초단플레이트 전압이 그대로 위상단의 그리드에 걸리기 때문에 그만큼

이위상반전단의 플레이트전압과 케소드 전압이 높아진다는 말씀입니다


즉 케소드 전압은 초단플레이트전압 + 위상반전단에 필요한 케소드전압을 더한

전압이 걸리기 때문에 당연히 케소드 저항이 커진다는 말이 됩니다

그대신에 이회로의 장점은 초단에서의 출력커플링을 없앨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음질열화 요소를 하나 제거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단에서 초단으로 부궤환을

거는 경우에도 이 용량성부하가 되는 커플링이 없기 때문에 안전하고 쉽게 부궤환을

걸 수 있고 또 정확하게 걸리게 때문에 저역특성이 매우 좋아 집니다

그대신에 초단 플레이트의 직류가 같이 넘어가는 관계로 그것에 대한 방지를 철저히

해야 하기 때문에 전원부의 리플등의 관계도 확실히 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위상 반전단의 상하 플레이트 저항값이 틀린 것을 볼수 있는데요

이는 원칙적으로는 이 위상반전관의 출력신호는서로가 반전된 똑같은 크기의

레벨로 출력되어야 하지만 각관의 감도가 틀린경우와 오차상의 문제로 똑같은 크기의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아랫쪽 한쪽관 플레이트에 3-5K의 가변저항을 달아

밸런스를 유지하나 여기서는 한쪽관 플레이트에 약간 높은 부하저항을 넣어

이를 해결한 것 같습니다

사실 파워앰프에 있어서는 약간의 밸런스오차는 무시해도 되기 때문에 크게 문제시

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여기서 출력된 신호전압은 C7과C8의 0.047을 통해 12BH7에 넘어가는데

(이때 이 콘덴서의 용량을 약간 더 큰 것으로 넣어도 됩니다 0.1 정도용량으로 개조하면

더 굵고 깊은 음질과 저역특성)


이 12BH7단부터 출력관과 출력트랜스에 연관이 깊습니다

보통의 회로는 각 관의 플레이트 전원공급을 B전원측에서 공급하도록 설계하였는데

매킨토시 파워의 거의 전부는 출력트랜스蝡1차측에서 초단과 위상반전단을 빼고

전력드라이브단의 플레이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물론 이12BH7단에서도 약간의 증폭과 많은 전류를 흘려줌으로서 출력관을 충분히

드라이브할수 있도록 전력 드라이빙의 역할을 하는것이고 마지막의 12AX7은

케소드 팔로워로서 전압이득은 없고 그대신에 충분한 전류를 흘림으로서

앞단의 높은 출력임피던스를 낮추어 출력관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일종의

전류버퍼 역할을 하는 단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 케소드 팔로워회로에서 출력관의 그리드에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출력을

내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 보통 파워회로와 달리 몇가지 눈여겨 볼만한 것은

일단 전원공급은 12BH7이후 부터는 출력트랜스 1차에서 크로스커플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인데요


매킨토시의 말을 빌리면

출력방식은 출력관의 플레이트와 케소드에서 각각 절반씩 맡아서 출력하는 형태이고

또 출력관쪽의 회로를 잘보시면 상하관에 궤환을 걸어 놓은 것을 볼수 있는데

즉 트랜스1차의 2개권선중 하나는 상측의 스크린그리드에 그리고 하측 출력관의

플레이트에 또 하측의 12BH7과 AX7의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권선도

마찬가지의 구조로 서로 크로스커플드 배선이되어 있는 형태인데 이는

PP특성상 AB급으로 동작하는 출력관에서 발생되는 노치왜율(비직선성의 왜율)과

출력관 자체 내부저항을 줄이며 또한 전력드라이브관과 출력관 부품들의 질 자체의

불균형을 잡아 줌으로서 충분한 출력과 음질을 낼수 있다고 얘기 합니다


그리고 출력관의 플레이트 쵸크는 매킨토시앰프외에 유명한 마란츠 9 (3.3UH)에도

있는데 여기서의 쵸크의 역할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개인적인 견해로는

일단은 전류버퍼역활은 아닌 것 같고 출력관의 위상이나 임피던스관계에 기여하는

용도라 생각되는데 이는 그 당시의 기술로 60W는 대단히 큰 출력중의 하나고

또 출력이 큰만큼 출력관의 입력용량도 크기 때문에 (즉 임피던스가 높아짐으로)

트랜스 1차를 초크코일을 통해 직류적으로 격리 시킴으로서 낮은 임피던스로 출력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아닌가 생각되고

또 다른 관점으로는 출력관이 트랜스에 직결되어 있지 않음으로서 트랜스 이차에

용량성 부하가 나타날 경우(예로 스쾁커가 쇼트되거나 단선된 경우 케이블이 바뀐 경우

또는 프리단의 단락등) 이런경우에도 출력관을 보호함으로서 오랫동안 안심하고

사용할수있게 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봅니다


전원관계


전원부에서는 파워 앰프 대부분이 ON OFF스위치가 없는데 이때 전원부를

개조하면 첫 번째로 발생될수 있는 문제로는 휴즈가 터진다거나 또는 심하면

정류부가 터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수 있는데

이는 초기 전압의 서지 커런트로 인해서 발생되는 문제 일수가 있습니다

다행히 MC60은 5U4GA 2개를 병렬연결하여 위와 같은 문제는 덜하지만

휴즈가 터진다거나 하는 문제는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매킨 275 같은 경우에는 다이오드로 정류를 하기 때문에 이런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해

AC전원 인입구에 서미스터를 달아서 초기 과도 전류를 방지하는 방법을 쓰기도

하는데요

정류관 방식인 경우에는 그나마 좀덜하지만 간단하게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전원트랜스 1차와 2차측 양파사이에 각각 0.05-0.1UF 1000V정도의 세라믹콘덴서를

달아 두면 안심이 될수 있습니다


이 초기 과도전류라는 것이 평활콘덴서에 충전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온오프를 해도

이미 충전이 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완전 방전된 경우 온오프를

하면 순간적으로 AC전압에 상응하는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쉬운 것이 전원쵸크의 용량이 부하량에 비해 매우적다는것인데

용량이 조금만 더 큰것이었더라면 더욱 유연한 음질을 기대할수 있었을텐데 아쉬운

부분이구요 그대신에 그당시의 회로치고는 리플콘덴서를 좀 크게하여 원활히 리플을

줄인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런경우에는 임피던스를 내리기위해 리플콘덴서에 병렬로 질좋은 필름콘덴서를

달아두면 상당한 음질개선이 이루어집니다(S/N비도 좋아짐)


C전원 같은 경우에도 10UF 리플콘덴서로는 거의 리플을 제거하지 못하고 전압을

보낼텐데요 이부분에도 47UF-100UF정도로 달아두면 효과가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프리를 C8로 사용하시는 경우 전원을 MC60파워에서 공급하는 경우

위 회로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C8의 프리 입력전압이 DC 390-400V 정도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전원을 MC60 파워가 공급하는 경우에는 파워의 8핀소켓 4번에

DC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파워회로부에서 왼쪽아래에 핀배치 및 프리에

공급할 전압 및 전류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볼수 있는데요 이때 360V에 3.5MA가

흐른다고 표시 되어 있습니다

이는 파워의 전원부쪽 10K 10W후단에 이전압이 나온다는

말이되는 것으로 이러면 C8의 공급전압이 다소낮아 질수 있으니 이10K 10W를 좀더

낮추던지 프리의 8핀소켓의 4번발에 연결된 12K를 낮추던지 하여 프리의 라인단 플레이트

전압을 335V 내외로 맞추어야 할것이라 사료됩니다


따라서 C8을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전원을 파워에서 받는 경우 MC60의 B전압단 10K10W

후단이나 8핀소켓의 4번에 400V 내외(+ - 5%정도의 오차는 허용됨)의 전압을 재어 보시고

프리 공급전압과 틀린경우에는 위와같은 조치를 취하시는 것이 좋을것이라 생각됩니다

이것으로 어줍잖은 실력으로 대충 설명해 봤구요

긴글 읽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Articles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