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기

826 SE ISABELLA

by 정호윤 posted Jul 2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십니까? 정호윤입니다.

유리컵을 엎어놓은듯한 모양으로 유명한 826을 SE 구동하는 파워앰프를 만들었습니다.
IMG_5089.jpg 

826은 미국 점보 7핀 베이스의 정바이어스 송신관입니다.
IMG_5076.jpg 
쌍뿔관으로 유명한 829B/3E29에서 뿔이 없고 내부 구조물이 간단히 들어있는 모양입니다.
직열3극관으로 전극은 4개가 필요하지만 그리드와 플레이트를 한개씩 더 쓰고 점보 7핀의 굵은단자를 필라멘트 중점으로 씁니다.

정바이어스 송신관을 운용할때 그리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공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 이번에는 EL34를 3결 결선하여
EL34의 케소드와 826 그리드를 바로 잇는 다이나믹 커플링을 썼습니다.
이득은 76과 6G6G 3결로 얻고, EL34 3결은 케소드팔로워로서 이득이 없습니다.
IMG_5078.jpg 
826이 나름 대전력관이기 때문에 최적의 상황을 맞추고 동시에 출력트랜스포머의 권장최대중첩전류를 꼭 알맞게 맞추기 위해
바이어스는 가변할 수 있도록 조치했습니다.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IMG_5074.jpg 

826은 7.5V/4A의 필라멘트 규격을 가지며, 직열관이기 때문에 직류점화를 합니다.
꽤 많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이번에는 일반적인 ㅠ형 전원부와 험밸런스 조합으로 운용했습니다.
IMG_5047.jpg 
GBPCXXXX 혹은 KBPCXXXX 같은 범용 브리지 다이오드를 쓰면 다이오드에서만 약 8W의 발열이 생기기 때문에
이번에는 전력용 이중 쇼트키다이오드인 SR3040PT를 썼습니다. 이때라면 약 1.4W의 발열이 생깁니다.
다만 공통케소드이기 때문에 양파전원을 구성해야하는 단점이 있지만 애초 설계부터 이것을 쓰기로 결정하여
이 부분은 문제가 되질 않았습니다. 순방향 전압강하가 적은 쇼트키다이오드의 특성 덕분에 적은 발열과
7.5V 교류권선에서 정류와 적당한 저항을 통한 전압강하까지 포함하여 댁내인입전압 227V에서 7.4V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826 SE ISABELLA 는 회로와 꼭 알맞게 설계된 전용 단자판으로 작업했습니다.
IMG_5046.jpg 
단자판을 유지하는 기판지지대를 위해 추가적인 기판지지대 구멍을 따로 내지 않고,
상판에 올라가는 기구물의 고정 구멍에 기판지지대를 올린 후 이에 맞춰 단자판을 설계하였습니다.

이중 쇼트키다이오드 정류 이후 필라멘트 전원부의 모습입니다.
IMG_5049.jpg 
점보 7핀 소켓 고정나사와 정류관 고정나사에서 적당한 높이를 세워 필라멘트 전원 평활용 커패시터와 험밸런스를 올렸습니다.
발열이 심한 0.33R/25W 저항은 상판에 바로 붙였습니다.(발생하는 발열은 약 5.2W)

증폭부와 전원부까지 모두 한 단자판으로 정리했습니다.
IMG_5054.jpg 
정류관에서 나온 전압을 평활용 F&T 커패시터에 넣고 이후로 초크코일과 추가 평활커패시터를 지나 각 부분으로 나뉩니다.
부품의 크기에 맞춰 단자판을 설계한 덕분에 배선작업이 거의 없는 수준으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증폭부 저항은 단일제작사로 키와메가, 커플링커패시터는 화려한 느낌이 강한 MULTICAP RTX가 선택되었습니다.
IMG_5056.jpg 

주단자판의 상세입니다.
IMG_5063.jpg 
오른쪽 위 커패시터가 50uF+50uF로 정류관입력과 초크코일 이후를, 아래것이 100uF+100uF로 위의 나머지 50uF와 함께 B1을 구성합니다.
여기서 출력트랜스포머, 다이나믹커플링의 EL34,6G6G, 76으로 흘러갑니다.

6G6G와 EL34 소켓 고정구멍을 빌린 커플링 커패시터 및 바이어스 전원부 단자대입니다.
IMG_5068.jpg 
추후 커플링 커패시터 교체 편의를 위해 소켓에서 바로 잇지 않고 단자대를 구성했습니다.

ISABELLA는 되먹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작업했습니다.
IMG_5061.jpg 
각각 없음 -6dB, -12dB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IMG_5086.jpg 

개인적으로 가장 좋았던 각도입니다.
IMG_5058.jpg 
입출력과 증폭부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얼짱 각도입니다.
IMG_5082.jpg 

전기적 특성입니다.

※ 전기적 특성은 사람의 신체검사와 같은것으로 기계적인 특성을 나타낼 뿐입니다.
기계적 특성이 재생음색을 나타내는것도 아니고, 기계적 특성의 우수함만을 목표로 하지도 않습니다.
단지 제가 만든 기기의 신체검사를 통한 건강상태를 알고 싶을 뿐입니다.


모든 결과는 별도의 알림이 없으면 왼쪽 채널 기준입니다.


이득 : 약 20배, 약 26dB @ 1kHz, 100kOHM 되먹임 없음
잔류잡음 : 양쪽 공히:0.8mV -6dB:0.45mV, -12dB:0.25mV @ 100kOHM
찌그러짐  : 1V 출력시 1.6% @ 1kHz, 100kOHM 이때 입력 155mV
             찌그러짐이 시작될 때 5.15V 약 3.3W 이때 찌그러짐 4.5% 입력 290mV

주파수 특성입니다.
826_SE_76_6G6G_EL34_fr_res.png 
적용한 출력트랜스포머인 룬달 LL1623 덕분인듯 되먹임이 없음에도 널찍한 주파수 특성을 볼 수 있습니다.

입출력 특성입니다.
826_SE_76_6G6G_EL34_inout.png 
입력에 비례해 늘어가는 출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찌그러짐 특성입니다.
826_SE_76_6G6G_EL34_dist.png 
특성이 보증된 출력트랜스포머(LL1623) 덕분에 주파수별로 찌그러짐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IMG_5097.jpg 

여러가지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무사히 만들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