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성종시대 개성에 가무 절색 기생이 살았다. 예전의 기생이 명기가 되려면 미색뿐 아니라, 글과 가무에 아주 능해야 했는데 이 기생이 그러했다.
기생의 소문은 싸이의 강남스타일이나 잰틀맨 보다 더 급속히 파급되어 팔도의 많은 한량이 모두 이 기생을 찾아가서 연정을 고백했으나 그때마다 이 기생은 한량의 청을 들어주는 대신 문제를 내고 그 문제를 푸는 조건을 내 세웠다.
그러나 희대의 문장가라는 사람도 기생이 낸 글을 풀이하지 못하고 허탈하게 돌아 갔다. 기생은 자신을 사모하는 한량이나 선비를 모두 이렇게 거절하고 언젠가 자신의 글을 풀고 사랑을 나눌 님을 기다리며 평생 기생으로 가무와 글을 익혔다.
얼핏 한량이라하면 건달쯤으로 알기 쉽지만 예전엔 한량이라하면 사서삼경은 기본이고 글체가 좋고 속심이 넓으며 기백이 뛰어나고 인물 또한 출중하고 무엇보다 풍류를 알아야 했다.
허지만 내노라하는 한량들 어느 누구도 기생의 앞에서 문장과 지혜를 능가할 기량을 가진 한량은 없었다. 그러던 어느날 남루한 중년의 선비가 기생집에 들었다. 기생집 하인들은 남루한 그를 쫒아 내려고 했다.
이 소란을 목격한 기생은 선비가 비록 남루했지만 범상치 않은 기품이란 것을 알고 대청에 모시고 큰 주안상을 봐 올린후 그 선비에게 새 집필묵을 갈아 이렇게 써 보였다.
點一二口 牛頭不出
선비는 기생의 글귀를 보고 빙긋이 웃었다. 기생의 명주 속치마를 펼치게 한후 단필로 이렇게 썼다.
許
순간 기생은 그 선비에게 일어나 큰 절을 삼배 올렸다. 절 삼배는 산자에겐 한번, 죽은 자에겐 두번 세번은 첫 정절을 바치는 남자에게 하는 여인의 법도이자 신하가 임금에게 하는 하례다.
그 날밤 선비와 기생은 만리 장성을 쌓았다. 그리고 보름이 지난후 선비는 기생에게 문창호지에 시한수를 적어놓고 홀연히 길을 떠나 버렸다.
물은 고이면 강이 되지 못하고 바람이 불지 않으면 꽃은 피지 아니한다. 내가 가는 곳이 집이요 하늘은 이불이며 목마르면 이슬 마시고 배 고프면 초목근피가 있는데 이 보다 더 좋은 세상이 어디 있느냐?
이후 기생은 그를 잊지 못하고 뼈에 사무치도록 그리워하며 비단가죽 신발을 만들며 세월을 보냈다. 풍운아인 선비의 발을 편안하게 해주고 싶은 애틋한 사랑에 손마디가 부풀도록 가죽 신발을 손수 다 지은 기생은 마침내 가산을 정리하고 그 선비를 찾아 팔도를 헤매 다녔다.
정처없이 팔도를 떠돌며 선비의 행방을 물색하던중 어느날 선비가 절에 머물고 있다는 풍문을 듣고 찾아가 극적으로 재회 했다. 기생은 선비와 꿈같은 재회의 하룻밤을 보내고 다시는 선비를 놓치지 않겠다고 다짐 했다.
꿈같은 재회의 첫밤을 보낸 다음날 해가 중천에 올라도 움직일 기색이 없는 선비에게 기생이 물었다. 낭군님 해가 중천인데 왜 기침하시지 않으시온지요? 그러자 선비는 두눈을 감은체 이 절간엔 인심이 야박한 중놈들만 살아 오장이 뒤틀려 그런다고 했다.
기생은 선비의 말을 즉시 알아 들었다. 급히 마을로 단걸음에 내려가 거나한 술상을 봐 절간으로 부리나케 돌아왔는데 하룻밤 정포를 풀었던 선비의 방앞 툇마루엔 선비 대신 지난밤 고이 바쳤던 비단 가죽신만 가지련히 놓여 있었다.
수년을 찾아 해맨 끝에 재회한 선비가 홀연히 떠나버린 것을 알고 기생은 망연자실 했지만 이내 선비의 고고한 심증을 깨달았다. 선비의 사랑은 소유해도 선비의 몸은 소유 할 수 없다는 것을 깨우친 기생은 선비의 깊고 높은 큰 사랑을 받았다는 것으로 스스로 위로하며 평생을 선비를 그리워하며 살았다.
이 기생이 유명한 평양기생 황진이다. 황진이는 평양기생으로 잘못알고 있는데 사실은 개성기생이고 개성여인들은 미색이 뛰어나고 재주가 특출 했다고 한다. 황진이가 그토록 사랑한 남자는 저서 화담집의 조선 성종 때 철학자 서경덕이다.
황진이를 만났을때 서경덕이 푼 황진이의 글 뜻은 點一二口는 글자대로, 點一二口 이고 글자를 모두 합치면 말씀 (言) 자가 되고 牛頭不出 이란 소머리에 뿔이 없다는 뜻으로 牛 에서 머리를 떼어 버리면 (午) 자가 되는 것이다. 이 두글자를 합치면 허락할 (許)자다.
결국 황진이는 서경덕에게 자신을 바친다는 뜻을 이렇게 사행시로 전한것이다. 이 글자를 해역 할수 있는 능력이라면 자신을 송두리 바쳐도 아깝지 않다고 생각한 황진이의 기발한 사랑찾기가 절묘해서 이 적적한 가을밤에 한줄 적었다.
夜思何(야사하) / 황진이 詩蕭寥月夜思何事(소요월야사하사)
달 밝은 밤에 그대는 누굴 생각하세요?
寢宵轉輾夢似樣(침소전전몽사양)
잠이 들면 그대는 무슨 꿈 꾸시나요?
問君有時錄忘言(문군유시녹망언)
붓을 들면 때로는 내 얘기도 쓰시나요?
此世緣分果信良(차세연분과신량)
나를 만나 행복했나요? 나의 사랑을 믿나요?
悠悠憶君疑未盡(유유억군의미진)
그대 생각 하다보면 모든게 궁금해요.
日日念我幾許量(일일염아기허량)
하루중에서 내 생각 얼만큼 많이 하나요?
忙中要顧煩或喜(망중요고번혹희)
바쁠 때 나를 돌아보라 하면 괴롭나요? 반갑나요?
喧喧如雀情如常(훤훤여작정여상)
참새처럼 떠들어도 여전히 정겨운가요?
悠悠憶君疑未盡(유유억군의미진)
그대 생각 하다보면 모든게 궁금해요.
日日念我幾許量(일일염아기허량)
하루중에서 내 생각 얼만큼 많이 하나요?
忙中要顧煩或喜(망중요고번혹희)
바쁠 때 나를 돌아보라 하면 괴롭나요? 반갑나요?
喧喧如雀情如常(훤훤여작정여상)
참새처럼 떠들어도 여전히 정겨운가요?
음악 / 이선희 / 알고 싶어요
달밝은 밤에 그대는 누구를 생각하세요.
잠이 들면 그대는 무슨 꿈 꾸시나요.
깊은 밤에 홀로 깨어 눈물 흘린적 없나요.
때로는 일기장에 내 얘기도 쓰시나요.
나를 만나 행복했나요. 나의 사랑을 믿나요.
그대 생각 하다보면 모든게 궁금해요.
하루 중에서 내 생각 얼마큼 많이 하나요.
내가 정말 그대의 마음에 드시나요.
참새처럼 떠들어도 여전히 귀여운가요.
바쁠때 전화해도 내 목소리 반갑나요.
내가 많이 어예쁜가요. 진정 날 사랑하나요.
난 정말 알고 싶어요 얘기를 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