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정호윤입니다.
이것이 잘못되면 커패시터의 폭발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신중히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적당히 처리하여 사진과 같이 끝단에 끼워넣습니다.
아이키도 기판 표준 제작예입니다.
증폭부 저항은 데일저항을 썼으며 커플링커패시터는 실장하지 않았습니다.
이와 같은 사진으로 구성되면 됩니다.
방향이 있는 부품은 UF4007 다이오드, 전해커패시터, CFM 커패시터(사진의 붉은색
커패시터),
OS-CON(사진의 보라색 커패시터) 입니다.
OS-CON(사진의 보라색 커패시터) 입니다.
UF4007은 띠가 있는곳을 사각형 땜 패드로 향하게하면 되며,
방향이 있는 커패시터들은 리드가 긴것이 +극이며 사각형 땜 패드로 향하면 됩니다.
방향이 있는 커패시터들은 리드가 긴것이 +극이며 사각형 땜 패드로 향하면 됩니다.
이것이 잘못되면 커패시터의 폭발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신중히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히터 전압 조절용 반고정저항은 방향은 없으나 조절자가 기판 그림에서 모서리가 잘려진 방향으로
하셔야
시계방향으로 돌릴때 히터전압이 올라갑니다.
시계방향으로 돌릴때 히터전압이 올라갑니다.
반대로 실장하시면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야 전압이 올라갑니다.
이 부품의 방향은 심각한 오류를 발생시키지는 않습니다.
이 부품의 방향은 심각한 오류를 발생시키지는 않습니다.
금핀은 사진과 같이 실장합니다.
제작이 끝난 후 히터 전압을 조절할 때 이 핀에 테스터 리드를 물리면 아주
편리합니다.
히터 전원 정류용 쇼트키 다이오드 뭉치 작업 설명입니다.
쇼트키 다이오드 방열판의 구멍은 두개이며, 방열판 양쪽으로 쇼트키다이오드를 볼트로
고정하여
브리지 다이오드를 만듭니다.
브리지 다이오드를 만듭니다.
기판에 실장하실때는 십자홈이 있는 머리쪽이 평활용 전해커패시터로 향하도록 해야 닿지
않습니다.
LM350 작업방법입니다.
<작업을 안내하기 위한 사진으로 기판 구입자분들에겐 LM350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사진의 부품 중 단자처리되어있는 선은 반을 자르고, 열수축대롱은 6등분하여 각 선에
끼웁니다.
반을 자른 선의 끝을 약 4~5mm 정도 벗겨내며, LM350의 리드는 짧게
잘라둡니다.
선의 색은 의미가 없습니다. 다만 작업은 중앙->좌->우로 진행하시는것이
편리합니다.
꼼꼼히 LM350과 선을 땜하시면 끼워두었던 열수축대롱을 LM350 방향으로 밀어
수축시켜
단락으로 생길 사고를 막습니다.
단락으로 생길 사고를 막습니다.
그리고 적당히 처리하여 사진과 같이 끝단에 끼워넣습니다.
사진과 똑같이 작업하셔야 나중에 문제가 없습니다.
같이 넣은 절연지와 절연와셔로 케이스에 고정하여 방열합니다.
공동제작용 회로정수는 6N6P를 기반으로 설정된것입니다만,
상당히 범용적인 정수로서 다른 관 사용에 있어 큰 문제를 발생하지
않습니다.
증폭을 담당하는 첫단은 ECC82/12AU7, 6CG7/6FQ7, E80CC, ECC99,
6N30P 등을 쓸 수 있으며,
ECC82/12AU7, E80CC, ECC99 를 쓰실때는 9A7에서 9A로 점퍼를
옮기셔야합니다.
출력임피던스를 낮추는 둘째단은 ECC82/12AU7, 6CG7/6FQ7, ECC99,
6N30P 등을 쓸 수 있으며,
역시 ECC82/12AU7, ECC99 를 쓰실때는 9A7에서 9A로 점퍼를
옮기셔야합니다.
둘째단에서 제외된 E80CC은 상호콘덕턴스가 낮아 버퍼단에 쓰기에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다만 썼을때 큰 문제가 생기는것은 아니며, 둘째단에서 요구되는 높은 상호컨덕턴스를 만족하지
않아
제외한것입니다. 쓰고 싶으시다면 쓰셔도 괜찮습니다.
제외한것입니다. 쓰고 싶으시다면 쓰셔도 괜찮습니다.
6N30P를 쓰실때는 560R 대신 270~470R 사이의 저항으로 바꾸시기
바랍니다.
그대로 쓰셔도 괜찮지만, 전류량이 적을때는 동작점이 알맞지 않으니 가능한 바꿔주시길
권합니다.
볼륨의 용량은 권장 50K~100KOHM 입니다.
그 이상도 가능하지만 생기는 잡음 발생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도움을 드릴 수
없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