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e] 전압계에 부착할 저항치

by 다마 posted Apr 02, 2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B+ 검침용으로 그림과 같은 전압계를 구입하였습니다.
>저항을 달아서 300V와 900V를 잴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
>부품장터에서 구입하였는데, 직결이면 900V, 1K옴을 병렬 연결하여 300V를 잴수 있다고 합니다.
>1K 병렬연결했다가 순식간에 저항 태워먹고, 병렬연결은 잘못표시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근데 또 문제는 1K옴 연결이 아니라는 겁니다.  1K옴을 직렬연결하니 전혀 엉뚱한 값이 뜹니다.



전압계는 사실은 전류계니다. 전류가 코일에 흘러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힘을 받아 움직이는 것이죠. 단지 내부 저항이 큰 전류계라고 보시면 되는데...
요는, 300볼트짜리로 900볼트까지 보고 싶은것이죠. 그렇다면 900볼트일 때 전압게에는 300볼트만 걸리게하면 됩니다. 저항을 직렬 연결 하셔야겟네요. 일단 수십키로~수백키로오옴 정도의(와트수가 매우 큰것으로) 저항을 직렬 연결하여 전압(몇 볼트인지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겟죠? 안전과 편리를 위해 300볼트로 합시다)을 걸어 줍니다. 그때의 눈금을 봅니다. 눈금이 가르키는 값이 얼마인지 확인합니다. 눈금이 너무 많이 움직인다 또는 너무 적게 움직인다...그러면 저항을 다른걸로 바구어서 편리한 눈금값이 나오게 합니다. 예를 들어, 전압계의 눈금이 200볼트를 정확하게 가르킨다...이러면 편리하겟죠? 그러면 걸어준 전압을 저항과 전압계가 나누어 먹습니다.
그러면 비례식을 이용하여...

저항에 걸리는 전압 : 전압계에 걸리는 전압 = 저항값 : 전압계의 내부저항값

이 됩니다.
다시 쓰면 (걸어준 전압이 300볼트라 치고, 테스타 없다고 치고)

(300 - 전압계 눈금값) : 전압계 눈금값 = 저항값 : 전압계 내부저항값

이렇게 전압계의 내부저항을 구합니다. 내부저항을 구했으면 거의 끝난겁니다.
(아마도 그 전압계의 내부저항이 300키로오옴이지 않을까 합니다만..그럼, 외부저항 600키로네 모 흐흐^^ 아~단지,추측~!입니다. )
900볼트일때 전압계에는 300볼트만 걸려야 하니까... 그럼 외부의 직렬연결한 저항에 600볼트가 가야하네요.
600볼트 : 300볼트 = x(저항값) : 전압계 내부저항 입니다. x를 구해서 직렬연결하면 900볼트짜리 전압계가 됩니다....(만세~~) 잠깐~!! 아직 끝이 아닙니다.(홈 쇼핑 같군요 --;;) 전류를 알아야합니다. 전압계에 300볼트가 갈때 최대 전류가 흐르므로, 오옴의 법칙에 따라, V = I * R , 300볼트 = I * 전압계 내부저항값 입니다. 해서 최대 전류값 I 를 구합니다. 이 전류가 외부의 직렬 연결된 저항에도 흐르므며, 그때의 외부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600볼트 이니까, P = V * I 에 따라, P = 600 * I 해서 저항에서 발생하는 열(전력)을 구합니다. 이 와트수보다 약간 여유가 더 있는 저항을 연결합니다. 이제 끝~!! 잘 씁니다. 쓰면서 자신이 대견스러워 집니다. 볼대 마다 이쁩니다....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