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단관 12ax7는 우리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진공관 중에 하나 입니다
그래서 12ax7를 알아 보다 제가 정리한 자료가 있어서 올려 봅니다
"초단관 12ax7 관련 자료"는 한번에 올리기가 너무 길어서 몇 차례에 걸쳐 게시할 예정입니다
혹시나 마음에 안들더라도 애독해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각 제조회사별로 나름 특성을 분류해 보았습니다
혹시나 틀렸거나 다른 의견이 있으신 분들은 댓글을 달아주시길 바랍니다
더불어 글이 마음에 드신다면 정중히 "추천" 부탁드립니다
*** 뮬러드(MULLARD)의 ECC83
1950년도에 제조된 초기의 버전은 플레이트가 약간 좁으면서 긴편이었다.
플레이트에는 사다리 모양의 무늬가 있고 검은색이었으나
약간 뒤에 만들어진 것은 회색으로 바뀌었다.
2개의 플레이트판을 한쪽에 2개씩 모두 4개의 스태플로 고정시킨 '스태플 플레이트' 인데
이것은 텔레풍겐이나 RCA, 암페렉스도 같다.
게터 헤이로는 'U'형이거나 'D' 형으로 관의 위쪽에 있다.
이것은 음질이 좋기는 널리 알려져 메니아들 사이에서는 중고도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1960년도에 제조된 버전은
짧고 넓은 스태플 플레이트이거나 박스 플레이트였다.
일반적인 진공관의 플레이트는
2개의 플레이트판을 접합시키는 양끝 부분이
납작하게 눌려져 있는 데 반해서
박스 플레이트는 납작하지 않고 얇은 상자 모양으로 접합되어 있다.
독일의 RE604나Ed, 영국의 PX4, 의 플레이트는 모두 박스 플레이트이다.
이 박스 플레이트 진공관이 오디오용으로 사용될 때 음질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스 플레이트 ECC83의 게터헤이로는 큰 'O'형이고 관의 위쪽에 있다.
IEC 서비스 마스터는 1960년부터 1970년까지
Mullard 의 진공관을 판매할 권리를 부여받았다.
당시의 Mullard 진공관에는 IEC/Mullard 란 상호가 표기되어 있다.
또 Mullard 에서는 '10M 시리즈'라는 특별히 버전도 생산되었는데
이것이 10,000시간의 수명을 보장한다는 프리미엄관이다.
따라서 '10M 시리즈'는 다른 것에 비해서 값도 비싸다.
***제글은 씨리즈로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혹시나 글이 마음에 드신다면 아래의 추천 "꼭. 꼭"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