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단관 12ax7는 우리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진공관 중에 하나 입니다
그래서 12ax7를 알아 보다 제가 정리한 자료가 있어서 올려 봅니다
"초단관 12ax7 관련 자료"는 한번에 올리기가 너무 길어서 몇 차례에 걸쳐 게시할 예정입니다
혹시나 마음에 안들더라도 애독해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각 제조회사별로 나름 특성을 분류해 보았습니다
혹시나 틀렸거나 다른 의견이 있으신 분들은 댓글을 달아주시길 바랍니다
더불어 글이 마음에 드신다면 정중히 "추천" 부탁드립니다
텅솔과 CBS 하이트론등 기타 타 메이커 들 1편
텅솔과 CBS 하이트론은 1952년에 12AX7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나
1960년대에 모든 진공관의 생산을 중단하고 만다.
한편 실바니아, GE, RCA는 1980년도 중반까지 12AX7을 생산하다가
1980년도 후반에 생산 라인을 폐기하였다.
현재 12AX7이나 그외의 유사관을 생산하고 있는 회사는
체코의 테슬라,
중국의 슈광,
세르비아의 EI,
러시아의 위탁제조회사인 소브텍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제조기계가 모두 낡은 영국과 독일제이기 때문에 불량률이 지극히 높다.
또한 리브랜딩은 진공관 업계에서는 너무 흔하게 일어난 일이라
여러가지 부작용도 수반되었다.
이것은 1970년대에 이르러 극에 달하였고
따라서 소비자들은 상당한 혼돈상태에빠지게 되었다.
슈광의 12AX7은 옛날 영국의 군용인 CV4004와 같은 버전인데
사용하다 보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테슬라나 EI의 ECC83은 옛날 유럽의 것과 꽤 비슷한 부분이 많은데,
특히 EI의 ECC83은 큰 플레이트 때문에
텔레풍겐과 같은관으로 통용되고 있으나 마이크로포닉이 상당히 심한 편이다.
러시아의 소브텍 버전으로는 12AX7A, 7025, 12AX7WXT가 있었으나
이것들 또한 왜율이란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소브텍이 최근에 개발한 12AX7LPS는
과거의 12AX7WXT보다 직선성이 향상되었고
진공관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곡선도 상당히 좋아졌다.
어떤 사람은 그것의 특성이 텔레푼켄의
구형 ECC83에 가깝다고 평가하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은 아주 섬세하면서 음악적이고 꽉찬 소리라고 하면서
CV4004의 '박스 플레이트'와 견주기도 한다.
아무튼 명관들과 비교할 만큼 인상에 남는 진공관임에는 틀림없다.
그리고 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을 뿐 아니라 구하기도 힘들어
중고품까지 거침없이 고가로 거래되고 있는
뮬러드나 텔레풍겐의 대용관으로 사용해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물론 관을 선택하는 것은 배우자를 고르는 것만큼이나 신중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바꿔칠 때까지 속앓이를 해야 하니까...
***제글은 씨리즈로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혹시나 글이 마음에 드신다면 아래의 추천 "꼭. 꼭" 부탁드립니다*